지난 포스팅에서는 문자열 데이터 형식과 연산의 기초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리스트(List)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 자료구조이다. 다수의 특정 데이터를 리스트에 추가하여 관리하기가 편리하다. 리스트는 논리적인 순서를 가지고 있는 자료구조이다.
1. 리스트(List)
데이터를 연속해서 저장할 때 많이 사용되는 자료형이다. 파이썬(Python)에서 아래와 같이 대괄호를 이용하여 리스트를 선언할 수 있다.
변수의 리스트를 명시적으로 표시해주기 위해서 빈 대괄호를 사용하여 리스트 임을 초기화해줄 수 있다.
예제
numberList = [1, 3, 5, 7, 8]
print(numberList)
print(type(numberList))
colorList = [] //변수를 명시적으로 List로 선언
print(colorList)
print(type(colorList))
결과
[1, 3, 5, 7, 8]
<type 'list'>
[]
<type 'list'>
2. 리스트 인덱싱(Indexing), 슬라이싱(Slicing)
문자열과 비슷하게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사용할 수 있다. 리스트를 다룰 때 유용한 기능이다.
인덱싱(Indexing)
인덱싱(Indxing)을 사용하여 특정부분의 데이터를 얻어올 수 있다.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와 동일하게 리스트의 첫 시작 인덱스는 0부터 시작된다.
예제와 같이 마이너스 인덱싱이 가능하고 일반 인덱싱과 마이너스 인덱스로 리스트의 끝부터 처음 순서로 접근이 가능하다.
예제
numberList = [1, 3, 5, 7, 8]
print(numberList[0])
print(numberList[3])
print(numberList[-4]) #마이너스 인덱싱
결과
1
7
3
슬라이싱(Slicing)
슬라이싱을 사용하면 리스트를 특정 부분을 얻어올 수 있다.
예제
numberList = [1, 3, 5, 7, 8]
print(numberList[0:2]) #인덱스 0부터 2의 앞자리까지의 원소들을 얻어옴
print(numberList[:1]) #처음부터 1의 앞자리까지의 원소들을 얻어옴
print(numberList[2:]) #인덱스 2부터 리스트의 끝까지 원소들을 얻어옴
결과
[1, 3]
[1]
[5, 7, 8]
3. 연산자
리스트를 붙여 쓰기 위해서 + 연산자를 사용하면 두 개의 리스트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예제
ottList = [1, 2, 3]
ffsList = [4, 5, 6]
print(ottList + ffsList)
결과
[1, 2, 3, 4, 5, 6]
4. 추가, 삭제
리스트는 기본 함수를 사용하여 리스트의 추가나 삭제가 가능합니다.
추가
append() 함수를 사용하여 리스트에 원소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예제
numberList = [1, 3, 5, 7, 8]
numberList.append(9)
numberList.append(10)
print(numberList)
결과
[1, 3, 5, 7, 8, 9, 10]
삭제
remove() 함수를 사용하여 리스트의 원소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예제
numberList = [1, 3, 5, 7, 8]
numberList.remove(1)
print(numberList)
결과
[3, 5, 7, 8]
반응형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Differences in division Python2 and Python3 (0) | 2021.09.03 |
---|---|
[Python/파이썬] 문자열(Strings) 데이터형식과 연산 기초 - 2 (2) | 2020.06.10 |
[Python/파이썬] Python2과 Python3 버전별 나눗셈 차이점 (0) | 2020.05.31 |
[Python/파이썬] 숫자(Numbers) 데이터형식과 연산 기초 - 1 (0) | 2020.05.31 |